본문 바로가기

Programming/Python

(11)
[Python] 문자열 찾기 : in, find() in 찾을 문자열 in 문자열 str = "hello python" if "py" in str : print("Found 'py'")# Found 'py' else : print("Not Found") find() 문자열.find(찾을 문자열), 문자열.find(찾을 문자열, 시작 인덱스, 끝 인덱스) : 문자열 내에 찾을 문자열이 존재하면, 찾고자 했던 문자열 첫 번째 index를 반환해준다. 그렇지 않다면 -1을 반환한다. str = "hello python" if str.find("py") > -1 : print("Found 'py'")# Found 'py' else : print("Not Found")
[Python]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 삭제하기 : strip(), replace() 문자열에서 문자를 삭제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. 그 중에 strip() 함수와 replace() 함수로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려 한다. strip() 문자열 양 끝에서 공백을 제거하거나 원하는 문자를 제거한다. str = " strawberry " result = str.strip()# 'strawberry' result = str.lstrip()# 'strawberry ' result = str.rstrip()# ' strawberry' str = ",,rrttgg.....strawberry..rrr" result = str.strip(",.grt")# 'strawberry' replace() 문자열 내에 어떤 패턴에 일치하는 일부 또는 모든 부분이 교체된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한다. str = "..
[Python] 집합(Set)과 딕셔너리(Dictionary) 파이썬의 컨테이너 자료형(여러개의 데이터가 묶여있는 자료형)에 대표적으로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집합이 있다. 보통 리스트를 쉽게 많이 사용하지만, 알고리즘을 풀다보면 경우에 따라 더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자료형이 있다. 그 중 집합과 딕셔너리는 시간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. 집합(Set) 1. 중복이 없다. 2. 순서가 없다. 집합 생성과 원소 추가/삭제 s = {1, 3, 5} s.add(7) s.update([3, 15, 4]) s.remove(5) # 원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에러 s.discard(13)# 원소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정상종료 집합 연산 union = s1 | s2 # 합집합 intersection = s1 & s2 # 교집합 diff = s1 - s2 # 차집합..